[CWN 김해남 기자] 랭키파이가 발표한 2024년 3월 4주차 트렌드지수 분석 결과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지수에서 넷플릭스 주가가 1위를 차지했다.
랭키파이 빅데이터를 분석한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지수 2024년 3월 3주차 지표이다.
1위 넷플릭스 주가는 트렌드지수 63,052점으로 전주 65,745점보다 2,693점 하락했다.
2위 스타벅스 주가는 트렌드지수 40,047점으로 전주 43,340점보다 3,293점 하락했다.
3위 엔비디아 주가는 트렌드지수 37,686점으로 전주 37,595점보다 91점 상승했다.
4위 테슬라 주가는 트렌드지수 34,496점으로 전주 38,447점보다 3,951점 하락했다.
5위 애플 주가는 트렌드지수 30,173점으로 전주 28,772점보다 1,401점 상승했다.
또 6위 에어비앤비 주가는 트렌드지수 25,947점, 7위 마이크로소프트 주가는 트렌드지수 8,443점, 8위 어도비 주가는 트렌드지수 5,692점, 9위 인텔 주가는 트렌드지수 3,303점, 10위 아마존닷컴 주가는 트렌드지수 1,506점이다.
이어 11위 퀄컴 주가, 12위 오토데스크 주가, 13위 시놉시스 주가, 14위 브로드컴 주가, 15위 모더나 주가, 16위 파카 주가, 17위 램 리서치 주가, 18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가, 19위 KLA 주가, 20위 메타 플랫폼스 주가로 나타났다.
순위 | 키워드 | 3월 3주차 | 3월 2주차 | 증감 | 비율 |
---|---|---|---|---|---|
1 | 넷플릭스 | 63,052 | 65,745 | -2,693 | -4.1% |
2 | 스타벅스 | 40,047 | 43,340 | -3,293 | -7.6% |
3 | 엔비디아 | 37,686 | 37,595 | 91 | 0.2% |
4 | 테슬라 | 34,496 | 38,447 | -3,951 | -10.3% |
5 | 애플 | 30,173 | 28,772 | 1,401 | 4.9% |
6 | 에어비앤비 | 25,947 | 25,921 | 26 | 0.1% |
7 | 마이크로소프트 | 8,443 | 8,546 | -103 | -1.2% |
8 | 어도비 | 5,692 | 6,289 | -597 | -9.5% |
9 | 인텔 | 3,303 | 2,122 | 1,181 | 55.7% |
10 | 아마존닷컴 | 1,506 | 1,516 | -10 | -0.7% |
[출처: 랭키파이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테이블]
연령별 선호도에서 넷플릭스 주가는 10대 5%, 20대 21%, 30대 28%, 40대 29%, 50대 18%로 나타났다.
순위 | 키워드 | 트렌드지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
1 | 넷플릭스 | 63,052 | 5% | 21% | 28% | 29% | 18% |
2 | 스타벅스 | 40,047 | 10% | 26% | 26% | 26% | 12% |
3 | 엔비디아 | 37,686 | 2% | 20% | 34% | 26% | 19% |
4 | 테슬라 | 34,496 | 3% | 20% | 35% | 27% | 15% |
5 | 애플 | 30,173 | 23% | 30% | 22% | 18% | 7% |
6 | 에어비앤비 | 25,947 | 3% | 30% | 33% | 22% | 11% |
7 | 마이크로소프트 | 8,443 | 9% | 26% | 30% | 21% | 14% |
8 | 어도비 | 5,692 | 10% | 43% | 26% | 13% | 8% |
9 | 인텔 | 3,303 | 4% | 24% | 30% | 25% | 17% |
10 | 아마존닷컴 | 1,506 | 0% | 3% | 9% | 38% | 49% |
[출처: 랭키파이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테이블]
나스닥100 주식 트렌드 지수 데이터는 넷플릭스 요금제, 넷플릭스 영화 추천, 넷플릭스 공유, 넷플릭스 드라마 추천, 넷플릭스 추천, 스타벅스 메뉴, 스타벅스 텀블러, 스타벅스 영업시간, 스타벅스 md, 스타벅스 사이즈, 엔비디아 주가, 엔비디아 실적발표, 엔비디아 관련주, 엔비디아 실적, 엔비디아 주식 등의 키워드 및 트렌드를 분석한 결과이다.
CWN 김해남 기자
newstdi9@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