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점포 수는 전년 말보다 5개 감소
![]() |
| ▲ 사진 = 뉴시스 |
[CWN 권이민수 기자] 지난해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순이익이 전년 대비 3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상승으로 이자이익이 증가한 데다가 부실채권 매각 등으로 비이자이익까지 늘어난 결과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점포 당기순이익은 13억3000만 달러(약 1조8400억원)로 전년(9억9100만달러) 대비 34.3% 증가했다.
금리상승 등으로 이자이익이 1억8600만달러 증가했고 KB국민은행의 인도네시아 자회사 KB부코핀은행이 지난해 부실채권 매각으로 5000만달러 이익을 내는 등 비이자이익이 2억9500만달러 늘어난 영향이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1억2500만달러, 베트남이 6500만달러 등으로 순이익이 크게 늘었고, 미국과 캄보디아는 각각 -1억5600만달러, -1억5200만달러를 기록하며 감소세를 보였다.
국내은행의 해외점포 총자산은 2101억9000만달러로 전년 말보다 70억5000만달러(3.5%) 늘었다. 국내은행 총자산에서 해외점포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4% 수준이다. 국가별로는 미국이 343억5000만달러로 가장 크고, 중국이 299억4000만달러, 홍콩 258억5000만달러 등이었다.
해외점포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74%로 전년 말(1.51%) 대비 0.23%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총여신 중 회수에 문제가 생긴 여신 보유 수준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은행의 해외점포는 총 202개로 전년 말보다 5개 감소했다. 지점이 88개로 가장 많았고 현지법인은 60개, 사무소는 54개였다.
국가별로는 베트남(20개) 소재 해외점포가 가장 많고 미국·중국(각 16개), 미얀마(14개), 홍콩(11개) 등 순이었다.
국내은행 해외점포의 현지화지표 종합평가 등급은 ‘2+’로 전년과 동일했다. 금감원은 현지 밀착 경영을 유도하기 위해 해외점포의 현지화 수준 및 본점의 국제화 수준을 평가해 종합등급을 산출하고 있다.
CWN 권이민수 기자
minsoo@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구혜영 칼럼] 카르텔의 서늘한 풍경](/news/data/2025/11/03/p1065592872193525_800_h.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