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소재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중부권 데이터 수요 대응

[CWN 우승준 기자] 경기도 성남시와 대전광역시에 데이터안심구역이 신규 지정된다. 데이터안심구역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과기정통부장관과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이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보안대책 등 지정 기준이 충족됐음이 인정될 때 데이터를 안전하게 분석·활용할 수 있는 구역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4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대전센터)을 데이터산업진흥 및 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 제11조에 따른 데이터안심구역으로 추가 지정했다”고 이같이 밝혔다.
과기부는 작년 하반기 데이터안심구역 신청이 접수된 기관에 대한 서류심사·현장심사를 포함한 심사를 진행했고, 최종적으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대전센터) 등 2개소 지정을 최종 확정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경기도 성남 K-ICT 빅데이터센터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대전 충남대를 각각 소재로 두고 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K-ICT 빅데이터센터 6층에 데이터안심구역을 마련했다. 질병, 상권분석, 판매정보 등 양질의 데이터를 이용자들이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공해 데이터 유통 생태계 확산에 기여할 계획이다.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은 지난 2022년 9월 지정된 서울센터에 이어 데이터안심구역 대전센터를 추가로 지정받았다. 새로 지정된 대전센터는 중부권의 데이터 수요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중부권병원협의체 등 연구·의료데이터 보유기관, 데이터 유관 협회와 협력할 예정이다.
엄열 과기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기업, 학생, 연구자들이 양질의 미개방 데이터를 활용하여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정부도 필요한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과기부는 앞서 강원도·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전라북도·국민연금공단·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서울센터)·한국도로공사·한국전력공사 등 6개 기관을 데이터안심구역으로 지정했다.
CWN 우승준 기자
dn1114@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