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성 논란’ 이정희 의장 등 거론…내부 직원들 동요 움직임
유한양행 측 “특정인 선임 사실 아니고 글로벌 진출 일환” 일축

[CWN 손태한 기자] 유한양행이 30여년 만에 회장·부회장직 신설한다고 밝혀 우려와 반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과거 도덕성 논란을 빚었던 이정희 유한양행 이사회 의장이 회장직에 오른다는 관측까지 제기됐으나 유한양행은 이 같은 ‘루머’를 부인하는 동시에 글로벌 진출을 위한 선제적인 조치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유한양행은 지난 6일 공시를 통해 회장·부회장직 신설을 위한 정관 변경을 다음달 진행되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한양행의 기존 정관에는 ‘이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서 이사 중에서 사장, 부사장, 전무이사, 상무이사, 약간인을 선임할 수 있다’라는 내용이 담겼는데, 이번 주총을 통해 ‘이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서 회장, 부회장, 사장, 전무, 상무 약간인을 선임할 수 있다’로 변경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오너 없는’ 지배구조에 균열이 생길 가능성이 커졌다. 업계에서는 외부 인재 수혈에 인색한 유한양행 특성상 이정희 의장과 조욱제 현 대표이사가 나란히 회장·부회장 자리에 오를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하다.
이 의장은 대표로 재직하던 2015년 부하직원의 전 부인과 재혼한 것이 알려져 도덕성 논란에 휩싸인 바 있는데, 2021년 대표이사 퇴임 후 이사회 의장을 맡아 ‘막후 경영’을 통해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 중이라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에 유한양행 관계자는 “글로벌화 추진을 위한 정관에 토대를 마련했을 뿐 거론되고 있는 특정인을 회장이나 부회장을 선임하겠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라며 “예전에 비해 회사 규모가 커졌고 임원수가 증가하면서 직급 체계를 더 넓혀야 한다는 필요성이 생겼다”고 해명했다.
유행양행의 이 같은 입장 표명에도 불구하고 내부 동요가 심상치 않은 상황이다. 자신을 유한양행 직원이라고 밝힌 A씨는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앱 ‘블라인드’에 “정관까지 변경해 사장 역임 후 의장이라는 자리를 만들었고 이젠 의장도 모자라 회장 자리까지 만들려고 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개탄스럽고 힘없는 직원이지만 이렇게라도 막아보고 싶다”며 “주총서 이번 안건이 통과되면 정말 직원으로서 좌절이며 유 박사님께서 곡할 노릇”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유한양행 직원 B씨도 블라인드 앱을 통해 “창업자이신 유 박사님은 회사의 사유화를 막기 위해 사원으로 입사해 사장을 할 수 있는 전문경영인 체제를 만들었다”라며 “사회로 환원환 회사이자 종업원 지주제인 유한양행을 개인이 사유화 하려 한다”고 주장했다.
창립 100주년을 앞둔 유한양행의 창업주인 고(故) 유일한 박사는 친인척을 배제한 채 전문경영인에게 회사 운영을 맡긴 인물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1939년에는 국내 최초로 종업원지주제를 도입하고 본인 소유 지분 52%를 사원들에게 나눠주며 ‘투명 경영’의 근간을 마련하기도 했다.
CWN 손태한 기자
son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