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 시내 한 편의점의 매대 모습 사진=뉴시스 |
[CWN 조승범 기자] 편의점 4사가 공정거래위원회 제재를 피하는 대신 자진 시정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편의점 4사는 납품업체에 과도한 손해배상금을 부과하는 등 갑질을 했다는 혐의로 공정위 조사를 받았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소회의에서 GS25와 CU,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4개 편의점 본부가 신청한 동의의결 신청을 심의한 결과, 동의의결 절차를 시작하기로 했다.
동의의결은 조사·심의를 받는 사업자의 위법 여부를 확정하지 않고 사건을 신속히 종결하는 제도다. 사업자가 스스로 원상회복, 피해 구제 등 타당한 시정 방안을 제안했을 때 해당한다.
공정위는 편의점 4사가 납품업체가 상품을 제때 납품하지 않을 경우 과도한 손해배상금을 부과하고 자사에 유리한 신상품 기준을 적용해 신상품 입점 장려금을 수취한 행위를 조사 중이다.
편의점 4사는 법적 판단을 다투기보다 자발적으로 편의점 시장 거래 질서를 개선하고 납품업체와의 상생·협력을 도모하고자 공정위에 동의의결 절차 개시를 신청했다.
동의의결 신청의 주요 내용은 손해배상금인 ‘미납페널티’ 비율을 인하해 납품업체의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동의의결 신청의 주 내용이다. 수취 절차 등 거래조건을 투명하게 개선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신상품 입점 장려금의 기준을 합리적으로 개선하고 납품업체의 자율적 의사를 반영해 증빙 절차를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편의점 4사는 납품업체 지원을 위해 30억원 규모의 협력기금을 출연하고 현재 유료로 운영하는 광고와 정보제공 서비스를 무상으로 45억원 가량 제공하는 등의 상생 방안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공정위는 사건의 성격, 신청인이 제시한 시정방안의 거래 질서 개선 효과, 거래상대방인 납품업체 보호, 신속한 조치의 필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동의의결 절차를 개시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개시 결정은 2022년 7월 대규모유통업법에 동의의결 제도가 도입된 뒤 최초로 적용된 사례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