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CHANGE WITH NEWS) -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영업익 반토막…전기차 캐즘 여파

  • 박무흑산도23.2℃
  • 흐림울진16.7℃
  • 흐림부여18.5℃
  • 흐림포항20.6℃
  • 구름조금제주26.1℃
  • 흐림고창군22.4℃
  • 흐림북창원23.1℃
  • 비인천17.8℃
  • 흐림철원16.9℃
  • 흐림함양군20.5℃
  • 흐림영월15.6℃
  • 흐림문경16.8℃
  • 흐림이천17.2℃
  • 흐림동두천17.2℃
  • 비백령도17.0℃
  • 흐림강진군23.5℃
  • 흐림고창22.2℃
  • 흐림대관령12.4℃
  • 흐림보은18.0℃
  • 흐림의령군19.7℃
  • 흐림부안20.9℃
  • 흐림파주17.1℃
  • 흐림영덕17.6℃
  • 구름많음고산27.3℃
  • 흐림해남23.5℃
  • 흐림거창19.7℃
  • 비울릉도19.9℃
  • 비홍성18.0℃
  • 흐림밀양21.0℃
  • 구름많음서귀포25.7℃
  • 흐림완도23.6℃
  • 구름조금성산25.8℃
  • 흐림광양시22.5℃
  • 흐림안동17.7℃
  • 흐림창원22.2℃
  • 흐림홍천17.2℃
  • 흐림세종17.8℃
  • 흐림경주시19.7℃
  • 흐림청송군18.1℃
  • 흐림천안17.7℃
  • 흐림동해16.8℃
  • 비청주18.1℃
  • 흐림양평18.0℃
  • 흐림순창군22.7℃
  • 흐림보령18.9℃
  • 흐림정읍21.8℃
  • 흐림군산19.6℃
  • 비서울17.9℃
  • 흐림광주23.7℃
  • 흐림고흥23.8℃
  • 흐림양산시23.0℃
  • 흐림순천21.8℃
  • 흐림강화17.3℃
  • 흐림김해시21.9℃
  • 흐림태백13.6℃
  • 비북춘천17.3℃
  • 흐림여수23.2℃
  • 흐림영광군22.2℃
  • 흐림울산20.5℃
  • 흐림임실20.7℃
  • 흐림진도군24.3℃
  • 흐림서산17.9℃
  • 흐림장수20.1℃
  • 구름많음거제23.2℃
  • 흐림강릉17.4℃
  • 흐림산청21.6℃
  • 비대전18.3℃
  • 비목포23.8℃
  • 흐림남원21.2℃
  • 흐림구미21.3℃
  • 구름많음남해21.9℃
  • 흐림합천20.3℃
  • 흐림보성군22.8℃
  • 흐림충주17.5℃
  • 흐림영천19.9℃
  • 비전주20.7℃
  • 흐림영주16.1℃
  • 흐림대구20.6℃
  • 흐림제천15.7℃
  • 비북강릉16.3℃
  • 흐림장흥23.4℃
  • 흐림진주19.7℃
  • 흐림금산18.8℃
  • 흐림의성19.6℃
  • 흐림정선군15.1℃
  • 흐림원주16.8℃
  • 흐림상주17.0℃
  • 흐림추풍령17.6℃
  • 흐림북부산23.5℃
  • 흐림서청주17.1℃
  • 흐림봉화15.6℃
  • 흐림춘천17.3℃
  • 흐림부산23.2℃
  • 흐림속초16.3℃
  • 흐림인제15.6℃
  • 흐림통영23.4℃
  • 비수원17.3℃
  • 2025.09.20 (토)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영업익 반토막…전기차 캐즘 여파

소미연 기자 / 기사승인 : 2024-07-25 16:54:42
  • -
  • +
  • 인쇄
매출 6조1619억원, 영업익 1953억원…보조금 빼면 적자
신·증설 속도 조절…전략적 우선 순위에 따라 투자 집행
포트폴리오 다변화로 고객사 추가 확보…46시리즈 기대
▲LG에너지솔루션 분기별 실적 추이. 사진=LG에너지솔루션

[CWN 소미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올해 2분기 매출 6조1619억원, 영업이익 1953억원을 달성했다.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9.8%, 57.6% 감소했다. 전기차 시장 수요 둔화 및 메탈가 약세에 따른 판가 하락 등으로 실적 타격이 불가피했다. 실제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첨단제조생산세액공제(AMPC) 제도에 따른 세액 공제 4478억원을 제외하면 적자(-2525억원)를 기록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최고재무책임자)는 25일 실적발표 후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고금리 기조 장기화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에 대해 주요 OEM들의 전동화 속도 조절 강도가 예상보다 높다"면서 "수요 감소에 따른 유럽 및 중국 가동률 하락으로 인한 고정비 부담 영향이 컸다"고 설명했다.

다만 주요 고객사의 신규 EV 출시 물량 적극 대응, ESS전지사업부 출하량 성장, 북미 지역 배터리 판매 호조로 IRA 세액 공제 효과가 2배 이상 증가하면서 전분기 대비 매출은 0.5% 증가, 영업이익은 24.2% 증가했다고 강조했다.

◇ 국내 최초 전기차용 LFP 배터리 수주 성공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2분기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자동차전지, ESS전지사업 부문에서 유의미한 수주 성과를 달성하고, 안정적인 글로벌 생산체계 구축, 공급망 다변화 및 연구개발(R&D) 등 여러 부문에서 미래 성장을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

국내 배터리 업체 중 최초로 전기차용 LFP 배터리 대규모 수주를 성공한 것이 대표적이다. 앞서 LG에너지솔루션은 르노(Renault)와 39GWh 규모의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의 텃밭이라 불리는 LFP 제품군에서 얻어낸 값진 성과다. 특히 파우치 배터리 최초로 셀투팩(Cell To Pack·CTP) 공정 솔루션을 적용해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도 증명했다.

현대차그룹과의 첫 번째 합작공장인 인도네시아 HLI그린파워도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지난 4월 가동을 시작해 현재 안정적으로 제품 양산이 진행 중이다. 앞으로 아시아의 신규 생산 거점으로써 빠르게 성장하는 아세안 전기차 수요에 대응해 나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ESS전지사업부문도 지난 5월 한화큐셀과 4.8GWh 규모의 북미 전력망용 ESS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단순 배터리 셀 공급 계약이 아닌 ESS SI 전문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 버테크의 SI(System Integration·시스템통합)도 함께 제공하며 고객 가치 역량을 한층 높였다.

이 밖에도 호주 리튬 광산 업체 라이온타운과 고품질 리튬정광 175만t 장기 공급계약 및 전환사채 투자계약을 체결하며 공급망 경쟁력도 강화했다. R&D 측면에서는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셀을 설계하는 AI(인공지능) 솔루션을 자체 개발했고, 미 반도체 기업 ADI와 셀 내부 온도 측정 기술 개발 MOU를 맺는 등의 성과를 달성했다.

◇ 2024년 연간 매출 전년比 20% 이상 감소 전망

LG에너지솔루션은 고금리 기조의 장기화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전동화 속도 조절 등 대외 불확실성이 여전해 녹록치 않은 경영 환경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2024년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20% 이상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연간 IRA 세액 공제 전망치는 주요 고객사의 전기차 생산 목표 조정에 따라 기존 45~50GWh에서 30~35GWh 수준으로 조정했다.

다만 어려운 경영 환경 속에서도 북미, 유럽 주요 고객사의 신차 출시에 따른 출하량 확대와 IT 고객사의 프리미엄 제품 수요 대응, 전력망 ESS 판매 확대 등 기회요인을 적극 활용해 매출 확대를 위한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은 △생산 효율성 및 투자 유연성 극대화 △압도적 기술리더십을 바탕으로 한 신제품 양산 가시화 △고객 및 사업 포트폴리오 다변화 △제품 가격 경쟁력 강화 등 주요 과제를 하반기 집중 추진할 방침이다.

우선 급변하는 사업 환경에 대응해 생산시설 운영 효율성과 투자 유연성을 높인다. 전방 수요 변화를 면밀히 관찰해 생산시설 신·증설 속도를 조절하고, 기존 EV 생산라인의 ESS 전환 등을 통해 각 생산거점별 케파 가동률을 끌어 올릴 계획이다. 동시에 현재 진행 중인 투자 계획을 재검토하고, 전략적 우선 순위에 따라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고정비 부담을 완화하고, 비용 효율성을 높여 수익성을 한층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압도적 기술리더십을 바탕으로 한 신제품 양산에도 역량을 집중한다. 하반기 원통형 신규 제품인 46-시리즈의 본격적인 양산이 예정돼 있으며, 지난해 말 양산을 시작한 ESS LFP 제품 또한 북미와 유럽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생산 물량을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건식전극 공정 파일럿 라인을 오창 에너지플랜트에 구축하며 미래 기술 확보도 가속화할 예정이다.

고객 및 사업 포트폴리오도 다변화한다.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다양한 고객사들과 LFP 및 고전압 미드니켈(Mid-Ni) 등 보급형 제품 수주 논의를 진행 중"이라며 "46-시리즈 또한 다양한 완성차 업체들의 관심이 높은 만큼 고객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제품 다각화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BaaS(Battery as a Service),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등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 기반의 중장기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서도 노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제품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기로 했다. 원재료의 직접 조달(Sourcing) 영역을 주요 광물에서 전구체 영역까지 확대하고, 업스트림 업체에 대한 지분투자를 강화해 공급망 경쟁력을 높여가겠다는 것이다. 또한 공정 간소화와 스마트팩토리 적용 가속화를 통해 생산 효율성도 높여 나갈 방침이다.

LG에너지솔루션 CEO 김동명 사장은 "예상보다 어려운 사업 환경이 지속되고 있지만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면서 근본적인 경쟁력과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더욱 단단히 구축해 미래 배터리 산업을 이끌 글로벌 선도기업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CWN 소미연 기자
pink2542@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소미연 기자
소미연 기자 / 산업1부 차장 재계/전자전기/디스플레이/반도체/배터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기자 페이지

기자의 인기기사

최신기사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

Today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