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건설사 명칭 개선 동참 선언식 참석한 것 잊은 듯 해

[CWN 손태한 기자] 최근 건설업계 일각에서는 서울시가 아파트 이름을 쉽게 개선하기 위해 지난해 말부터 추진하고 있는 '공공주택 명칭 개선'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는 의견이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가 공공과 민간 건설사까지 참여시켜 '공동주택 명칭 개선 동참 선언식'까지 진행했지만 실제 아파트 이름을 정하는 것은 발주처나 조합이 정하는 것이기에 건설사들이 적극적인 참여의지를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
특히, 대형 건설사 중 일부 기업은 서울시의 '공공주택 명칭 개선'사업에 대해 부정적인 모습까지 보여 서울시의 '공동주택 명칭 개선 사업이 오세훈 시장의 보여주기식 사업으로 끝날 것이란 지적도 일고 있다.
6일 서울시와 업계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지금의 공동주택 명칭은 길고 복잡해서 불편하다’는 답변이 77.3%에 달했다. 응답자의 60.3%는 ‘최대 4~5글자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이에 시는 토론회에서 ‘공공성과 자율성이 담긴 공동주택 명칭 제정을 위해서는 권고 수준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는 전문가 및 업계의 공통적인 의견을 토대로 개선안을 마련해 왔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시의 이같은 노력이 사실상 권고 수준에 그치고 강제성은 전혀 없기에 일부 건설사들이 명칭 개선 동참 선언식에 참석한 것을 잊은 듯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서울시의 '공동주택 명칭 개선'에 대해)해당사실을 몰랐으며 방금 CWN과의 통화를 통해서 알게 됐다"면서 "(롯데건설 직원으로) 해드릴 수 있는 답변은 네이밍은 저희가 하는것이 아니며 조합이 하는것이다”라며 “이름을 정하는 것은 결국 조합이 정하는것이고 조합과 협의해서 해야되는 사항이다”라고 답했다.
GS건설 관계자는 “서울시에 동조하는 입장이지만 네이밍은 발주처가 결정하는것으로 아파트 이름을 정하기 위해서는 발주처와 협의가 이뤄져야한다”며 서울시가 아파트 이름을 간소하게 정하라고 했지만 발주처가 이를 따르지 않으면 어쩔 수 없다는 의견을 내비쳤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서울시 가이드라인에 앞서 선제적으로 단지명에 정체불명의 단어 사용을 지양하고 있으며 지역 명칭을 필수적으로 넣어 단지별로 구분이 되도록 적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말 서울시와 함께 공동주택 명칭 개선 동참 선언식'까지 진행했으면서도 "서울시내에 아파트 분양하는 곳이 많이 없어 다른 대형 건설사에 문의해 보라"면서 아파트 이름 개선 계획이 없는 것처럼 답했다.
시민 A모씨는 "아파트 이름이 긴 것을 줄이자는 서울시의 정책은 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찬성한다"면서 "하지만 건설사들이 (아파트 이름 개선)의지가 없고, 결정권도 없다면 시의 노력은 오세훈 시장의 치적쌓기만으로 끝나버릴 수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시민 B모씨는 "재건축·재개발 조합의 입장은 이해가 되지만 본인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착이나 자존감 없이 그저 아파트 가격에만 신경 쓰는 듯해 한편으로는 씁슬하다"라며 "대형건설사들이 아파트 이름을 줄이는데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줬으면 하는 바램이다"라고 전했다.
CWN 손태한 기자
son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