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CHANGE WITH NEWS) - 中 제친 K-조선, VLCC로 격차 벌린다

  • 맑음창원10.8℃
  • 맑음통영9.4℃
  • 맑음태백0.7℃
  • 맑음정선군0.0℃
  • 맑음성산12.2℃
  • 맑음남원5.4℃
  • 맑음울산10.5℃
  • 맑음북부산6.0℃
  • 맑음대관령-1.8℃
  • 맑음인제1.8℃
  • 맑음서청주2.5℃
  • 맑음고흥9.6℃
  • 구름조금완도11.0℃
  • 맑음안동4.1℃
  • 맑음원주3.5℃
  • 맑음고창6.2℃
  • 맑음보은2.2℃
  • 맑음강진군11.3℃
  • 맑음동두천3.5℃
  • 맑음북창원8.6℃
  • 맑음전주7.7℃
  • 맑음장수1.7℃
  • 맑음부여3.4℃
  • 맑음인천8.0℃
  • 맑음김해시9.7℃
  • 맑음강화8.1℃
  • 맑음춘천2.5℃
  • 맑음정읍6.6℃
  • 맑음문경6.8℃
  • 맑음영광군7.3℃
  • 맑음여수12.2℃
  • 맑음거창3.4℃
  • 맑음제천0.5℃
  • 맑음보령6.5℃
  • 맑음충주1.7℃
  • 맑음의령군2.5℃
  • 맑음밀양4.6℃
  • 맑음속초9.7℃
  • 맑음광주9.8℃
  • 맑음청주7.9℃
  • 맑음부안7.0℃
  • 맑음추풍령4.6℃
  • 맑음보성군11.1℃
  • 맑음고산15.1℃
  • 맑음북춘천1.4℃
  • 맑음고창군5.6℃
  • 맑음서산3.3℃
  • 맑음서울7.3℃
  • 맑음상주8.4℃
  • 맑음경주시5.0℃
  • 맑음진주3.0℃
  • 맑음대전5.8℃
  • 맑음백령도11.3℃
  • 맑음영월1.9℃
  • 맑음이천6.0℃
  • 맑음남해9.6℃
  • 맑음영덕10.2℃
  • 맑음홍성3.9℃
  • 맑음순천9.1℃
  • 맑음청송군1.0℃
  • 맑음북강릉8.5℃
  • 맑음흑산도12.3℃
  • 맑음양평5.0℃
  • 맑음서귀포14.3℃
  • 맑음산청6.1℃
  • 맑음장흥9.9℃
  • 맑음대구10.9℃
  • 맑음광양시10.5℃
  • 맑음함양군5.2℃
  • 맑음해남11.1℃
  • 맑음홍천2.7℃
  • 맑음양산시6.5℃
  • 맑음임실4.4℃
  • 맑음진도군11.7℃
  • 맑음제주14.5℃
  • 맑음거제7.6℃
  • 맑음목포11.4℃
  • 맑음수원5.7℃
  • 맑음금산2.8℃
  • 맑음동해9.2℃
  • 맑음영주2.8℃
  • 맑음포항10.2℃
  • 맑음순창군6.0℃
  • 맑음울릉도12.2℃
  • 맑음부산13.3℃
  • 맑음철원1.0℃
  • 맑음영천4.2℃
  • 맑음세종4.9℃
  • 맑음봉화0.0℃
  • 맑음군산6.9℃
  • 맑음천안3.5℃
  • 맑음구미6.8℃
  • 맑음파주1.7℃
  • 맑음강릉10.7℃
  • 맑음의성2.5℃
  • 맑음울진7.5℃
  • 맑음합천5.5℃
  • 2025.11.14 (금)

中 제친 K-조선, VLCC로 격차 벌린다

김정후 / 기사승인 : 2024-03-07 14:00:00
  • -
  • +
  • 인쇄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 1위…1·2월 합산서 3%p 추격
VLCC 수요 대비 공급 부족…국내 조선사 최근 수주 나서
한화오션이 건조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사진=한화오션
한화오션이 건조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사진=한화오션

[CWN 김정후 기자] 한국의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11개월 만에 선두를 탈환한 가운데 상승세를 이어나가기 위한 무기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이 주목받고 있다.

7일 영국의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달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341만CGT(표준선 환산톤수·100척)로 전년 동월 대비 18% 증가했다. 한국은 이 중 50%에 해당하는 171만CGT를 수주하며 11개월 만에 1위를 탈환했다.

선두였던 중국은 141만CGT로 41%를 차지하며 2위로 내려앉았다. 척수로는 한국과 중국이 각각 28척, 59척을 수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1~2월 합산 발주량은 304CGT(44%)로 중국(321CGT·47%)과는 3%p 차이밖에 나지 않았다.

업계는 한국이 향후 발주량에서도 중국을 앞설 ‘키포인트’로 VLCC를 지목하고 있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지난 6일까지 전 세계에서 발주된 VLCC는 총 19척이다. 전년도 발주량은 18척으로 이 가운데 중국이 저가 공세에 힙입어 88.9%를 차지하고 있다.

VLCC 발주량이 급증한 배경에는 수급 불균형이 있다. VLCC 수요의 기반이 되는 원유 물동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 원유 탱커 적재량 수요는 3억3990만DWT(재화중량톤수)로 전년 대비 6.1% 늘며 총 적재 중량 증가율(3.2%)을 앞질렀다.

반면 공급은 수요에 못 미치고 있다. 글로벌 선박 발주가 본격화된 2021년 이후에도 VLCC는 LNG운반선, 컨테이너선 대비 발주가 더뎠다. 지난 2021~2023년 VLCC 발주량은 52척으로 같은 기간 각각 331척, 1241척이었던 LNG 운반선·컨테이너선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업계는 올해도 적재량 수요는 3.5% 증가하지만 공급 증가율은 0.2%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해 말부터 예멘 후티 반군의 홍해 상선 공격을 이어오며 수에즈 운하 통행에 지장이 생긴 점도 영향을 주고 있다. 선박들이 아프리카 희망봉을 거치는 우회로를 택하면서 운항 거리가 늘어나 선박 추가 투입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VLCC 수주 잔액도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글로벌 선사 DHT홀딩스에 따르면 전 세계 수주 잔액에서 VLCC 비중은 3% 이하로 하락했다. 클락슨 리서치는 올해 말까지 VLCC가 총 129척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같은 수요 증가 움직임에 중국에 밀려 VLCC를 수주 포트폴리오에서 제외했던 국내 대형 조선사들이 다시 관심을 보이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과 한화오션은 지난달 각각 2척의 VLCC를 수주했다.

국내 조선사가 VLCC를 수주한 것은 지난 2021년 이후 약 3년 만이다. 한화오션 관계자는 “정확한 목표 수치가 정해져 있지는 않지만 올해 VLCC 발주량은 늘어날 예정이다”며 “수익성 위주 선별 수주 전략을 바탕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WN 김정후 기자
kjh2715c@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정후
김정후

기자의 인기기사

최신기사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

Today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