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도 늘면서 건설업계 3중고…대기업들도 ‘물린’ 셈”
정부 세제 혜택 및 금융사 금리 할인 등 필요하다는 의견도

[CWN 최한결 기자] 2년 새 대기업 계열 건설사의 채무보증 규모는 23조원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채무 보증액 상승은 이제 중소건설사를 넘어 대기업 계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부실채권이 늘어날수록 업계 전반에 우려감을 높이는 요소로 작용될 전망이다.
8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81개 대기업집단 중 2021~2023년 건설 계열사를 두고 공사 시행을 위해 발주처와 입주 예정자 등에 채무보증을 제공한 31개 그룹 106곳을 조사한 결과 채무보증이 늘어난 건설사는 38곳으로 집계됐다. 변동이 없는 곳은 12곳, 채무보증이 줄어든 곳은 56곳이었다.
건설사 채무보증이란 건설업을 영위하는 법인이 공사시행을 위해 발주처나 입주예정자 등에 제공한 보증이다. 채무보증이 늘었다는 것은 수주 물량 확대와 신규 사업 증가로 해석할 수 있지만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사업이 지연될 경우 부실이 보증 제공자에게 전이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국내 대기업 계열 건설사 중 채무보증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중흥건설그룹이다. 중흥건설의 채무보증은 2021년 말 2566억원에서 2023년 말 1조3870억원으로 440.5% 급증했다. 같은 그룹 건설사인 중흥토건의 채무보증도 8340억원에서 3조6794억원으로 341.2% 증가했다.
이에 중흥건설 관계자는 “단기간에 사업이 늘어나면서 상승률이 높았다고 해서 이슈가 된건데 일각에서 생각하는대로 부채비율이 높아졌다는 게 아니”라면서 “채무보증액이 지난 3년간 늘어난 것은 아파트 공급에 따른 중도금대출보증, 분양보증, 하자보수보증 등 수분양자 보호를 위한 보증액이 증가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부실위험 징후에 대한 일각의 우려에 대해서는 ”채무보증액 증가와 관련해 부실 위험과 전혀 관계가 없다. 이는 신규 분양사업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높아지는 수치“라며 발끈하기도 했다.
같은 기간 채무보증 규모가 200% 이상 늘어난 곳은 송도랜드마크시티가 1263억원에서 5031억원으로 298.4% 늘었고 금호건설은 8045억원에서 3조1384억원으로 290.1% 늘었다.
이어 삼환기업(273.8%), 반도건설(242.8%), 태길종합건설(241.5%), SK디앤디(191.1%), KT&G(175.0%), 동아건설산업(132.6%), SM하이플러스(118.5%), 롯데건설(74.7%), 한화(69.8%), 현대건설(52.7%), 두산에너빌리티(45.7%), 태영건설(39.2%), GS건설(37.7%), SK에코플랜트(35.7%) 등의 순으로 채무보증 증가폭이 컸다.
반면 같은 기간 채무보증 규모가 가장 많이 감소한 곳은 동원산업으로 2021년 말 1조7090억원에서 2023년 말 1050억원으로 93.9% 급감했다. 대방산업개발의 채무보증은 1조 4019억원에서 1978억원으로 85.9% 감소했고 세종이앤지는 5126억원에서 1200억원으로 76.6% 줄었다.
이밖에 중흥건설이 인수한 대우건설은 중흥건설, 중흥토건과 달리 채무보증이 감소했으며 자회사인 대우에스티도 채무보증이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김인만 부동산 경제연구소장은 CWN에 ”대기업 건설사의 채무보증액이 늘어난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김 소장은 ”부동산 시장은 공급자 시장과 수요자 시장으로 나뉜다. 수요자 시장은 위축 됐고 공급자 시장은 2021년 레고랜드 이후에 2022년 금리도 올라가고 미분양도 늘어나서 3중고를 겪고 있는 상황이다. 한마디로 대기업들도 ‘물린’ 셈이다. 그렇기에 시행사도 돈이 없어서 지금 디폴트 상태다. 빨리 대책이 나와야 하는데 정부에선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것 같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김 소장의 진단처럼 채무보증 증가의 원인은 부동산경기 침체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1월 전국 미분양 주택은 전월 대비 1266가구(2.0%) 늘어난 6만3755가구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다.
건설업계 한 관계자는 ”해결 방안은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된다. 지방 미분양이 84%인데 미분양이라도 빨리 풀어줄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사견이지만 정부는 지방 모든 미분양에 대해 취득세는 물론 지방세, 양도세 감면이나 면제를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방 미분양 주택을 사면 금융권은 금리 할인 등과 같은 혜택을 줘야 하고 건설사들은 분양가 할인을 해줘야 한다. 이런 혜택 패키지가 나와야 지방 미분양이 소진 될 것 같다. 그래서 특히 금융권이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WN 최한결 기자
hanbest0615@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