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쿠팡이 자사 PB상품을 부당하게 우대하고 있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주장에 정면으로 반박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자료=쿠팡 |
쿠팡은 지난 23일 뉴스룸을 통해 입장문을 내고 “임직원 상품평을 통해 PB 상품을 검색 상위 에 노출했다는 건 사실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임직원 상품평 제도에 대해 "임직원 포함 모든 고객이 상품평 체험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공정하고 적법하게 운영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지난 21일 KBS ‘일요진단’에 출연해 “쿠팡이 임직원들에게 PB상품 후기를 작성하게 해 검색 순위 상단에 올린 건 일종의 자사 우대행위”라며 “조만간 전원회의에서 다룰 것”이라고 언급했다.
공정위는 2022년 참여연대의 신고에 따라 쿠팡의 PB상품 우대 의혹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다. 다음 달에는 전원회의를 열어 제재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날 쿠팡은 임직원 상품평을 통해 의도적으로 자사 PB 상품을 검색 상위에 노출시켰다는 의혹에 대해 우수 중소 기업을 살리기 위한 순수한 의도가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쿠팡은 “쿠팡 PB 제조사의 90%는 중소업체”라며 “대기업의 시장 장악으로 생존이 어려운 우수 중소기업의 PB 상품을 소개하고자 모든 고객과 임직원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공정하고 적법하게 쿠팡 체험단을 운영하고 있고 고객에게도 이를 분명하게 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쿠팡은 “공정위는 사건의 본질을 PB 자사 우대인 것처럼 이야기하고 있지만 본질은 모든 유통업체에서 이뤄지는 상품 진열 방식”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유통업체가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은 유통업의 본질”이라며 “온오프라인 불문한 모든 유통업체가 동일하게 운영하고 있고 전 세계에서 이같은 유통업의 본질을 규제하는 나라는 없다”고 주장했다.
쿠팡은 공정위의 입장에 대해 다른 대형 유통사와의 형평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쿠팡은 “대형마트 대부분이 인기 PB 상품을 매출 기여도가 높은 이른바 ‘골든존’ 매대에 진열하는 상황에서 쿠팡 PB 상품 진열만 규제하는 것은 명백한 역차별”이라는 주장을 펼쳤다.
쿠팡은 전원회의를 통해 이 같은 사실 관계를 밝혀 적극 소명하겠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CWN 조승범 기자
csb@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