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간 3D 콘텐츠 제작 및 운영 플랫폼 유니티(Unity)가 2022년 마지막 릴리스인 ‘유니티 2022.2 테크 스트림’을 출시했다.
유니티 2022.2 테크 스트림은 지난 5월 출시한 ‘유니티 2022.1 테크 스트림’ 피드백 기반으로 최신 개선사항과 기능이 적용되었으며, 2023년 출시되는 안정화 버전인 ‘유니티 2022 LTS(Long Term Support)’에 적용될 예정이다.
새롭게 선보인 유니티 2022.2 테크 스트림의 핵심 중 하나는 ‘데이터 지향 기술 스택(Data-Oriented Technology Stack, 이하 DOTS)’ 기술 중 한 가지인 엔티티 컴포넌트 시스템(Entity Component System, 이하 ECS) 도입이다.
특히, 인공지능(AI) 네비게이션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규칙을 코딩할 필요 없이 3D 캐릭터에 빠르게 지능을 더하고 게임 월드에서 움직일 수 있다.
기본 엔티티(Entities) 패키지를 비롯해 넷코드(Netcode), 그래픽스(Graphics) 및 물리를 위한 ECS 호환 패키지도 함께 포함돼 더욱 야심찬 게임 제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멀티플랫폼 확장성과 고해상도 그래픽스에 초점을 맞춘 렌더링 기능, 플레이어 기능 구현에 어려움을 겪는 개발자를 위한 게임 오브젝트용 넷코드(Netcode for GameObjects)도 추가됐다. 익숙한 게임 오브젝트 기반 프로그래밍 기법을 활용해 원하는 멀티 플레이어 경험을 훨씬 적은 코드를 사용해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유니티는 더욱 간소화되고 확장성이 뛰어난 워크플로를 통해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Universal Render Pipeline, 이하 URP)’과 ‘빌트인 렌더 파이프라인(Built-in Render Pipeline)’의 성능을 유사하게 제공하기 위해 주요 툴을 개선했다.
간편한 크로스 디바이스 XR(확장현실) 제작이 가능하도록 Unity XR 인터랙션 툴킷(XR Interaction Toolkit, 이하 XRI)도 업데이트되었다. 현재 최신 버전인XRI 2.2에는 여러 오브젝트 잡기 지원 및 새로운 이동 방법이 추가되었으며, 스타터 에셋(Starter Assets) 샘플 패키지로 즉시 사용할 수 있는 프리팹(Prefabs) 컬렉션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AR 파운데이션(AR Foundation)도 5.0으로 업데이트되었다. 이번 업데이트로 플레이 모드를 사용해 에디터에서 AR 앱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능 및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설정을 확인하고 AR 하위 시스템 데이터를 시각화할 수 있는 AR 디버그(AR Debug) 기능이 추가돼 개발 시간 단축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아울러, 메타 퀘스트 프로(Meta Quest Pro), 플레이스테이션 VR2(PlayStation VR2), 그리고 매직 리프 2(Magic Leap 2) 등 주요 플랫폼도 지원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구혜영 칼럼] 카르텔의 서늘한 풍경](/news/data/2025/11/03/p1065592872193525_800_h.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