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변호사 선임해 적극 대응”…GS건설 “적법한 절차대로”

[CWN 손태한 기자] ‘고객과 함께’라는 경영이념을을 내세우고 있는 GS건설. 그런데 최근 행보를 보면 ‘법과 함께’라는 말이 더 어울릴 법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GS건설은 초유의 사건으로 기억될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 주차장 붕괴 사고의 ‘주범’으로 서울시로부터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음에도 이에 불응해 법적대응에 나서고 있기 때문.
더욱이 최근에는 고양시에 건립중인 데이터센터와 관련된 공사에 제동을 건 파주시를 상대로 행정심판을 제기하고 있다. GS건설은 고양시 데이터센터 건립과 관련해 지역 주민설명회 등도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사회적 책임은 소홀히 한 채 자사 방어와 이익에만 급급한 행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23일 GS건설 및 관련업계에 따르면 GS건설은 논란이 되고 있는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시행사 마그나피에프브이㈜를 앞세웠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덕이동의 약 2600세대의 대단지 아파트 코앞에 들어서는 GS건설의 데이터센터는 서버 등 IT 관련 장비를 집결한 지상 2층, 지상 5층 규모다.
GS건설의 데이터센터는 올해 2월 착공 예정이지만 인근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중심으로 전자파 우려 및 냉방기기 가동에 따른 열섬현상 등의 위험성을 이유로 반발세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GS건설은 고양시가 적법한 절차에 따라 건축허가를 내줬기 때문에 허가 취소가 법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못박고 있지만 주민들의 강한 반대는 여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데이터센터 인근 주민들은 GS건설이 건축허가를 받고 부지작업이 마무리될 때까지 주민 설명회 등이 없이 진행됐기에 전혀 관련사실을 알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지난달 지역 주민들이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GS건설의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해 대대적인 투쟁을 예고했던 것 역시 이같은 이유다.
고양시민 A모씨는 "데이터센터 인근에 살고 있지만 지난달 초까지 GS건설 데이터센터가 들어선다는 것은 단지 엘리베이터에 붙은 대자보를 알게됐었다"며 "주변 지인들 역시 GS건설의 행태에 분개하고 있다"고 말했다.
GS건설의 데이터센터 건립에 대한 문제점은 전자파 유해 등도 있지만 전력수급 과부하 역시 우려되고 있다. 이 때문에 경기도 파주시 역시 GS건설의 고양 데이터센터 구축을 반대하고 있다.
GS건설은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공급을 파주 변전소로부터 받아야 하기에 파주시에 고압선 15만4000V(볼트) 송전선로 지중화 공사를 위한 ‘도로굴착 허가서’를 냈으나 파주시가 이를 반려했다.
구체적인 반려 사유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해당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향후 파주지역 블랙아웃(정전)에 대비한 비상 전력량확보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GS건설은 파주시를 상대로 경기도에 행정심판을 제기했다. 경기도 행정심판위원회는 관련 ‘도로굴착 허가 반려 건’ 심판기일을 내달 11일로 정했다.
양측 청구서와 답변서가 모두 제출된 가운데 청구가 기각돼도 GS건설은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지만 파주시의 경우 청구가 인용되면 추후 이의 제기가 불가능한 단심인 것으로 알려졌다.
파주시 관계자는 “도로굴착 허가에 관해서 시의 재량으로 판단해 불허했음에도 GS건설 측에서 심판을 제기한 만큼 변호사를 선임해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파주시민 B모씨는 "데이터센터를 건립한다는 것은 파주시민으로 알 수 없도 없고 큰 관심도 없지만 지역주민들 모르게 건립을 추진했다는 것은 지탄받아야 할 일"이라며 "더욱이 파주시의 전력난이 예상된다면 GS건설의 데이터센터 건립을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GS건설 측은 적법한 절차에 따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GS건설 관계자는 “주민들이 걱정하는 전자파 등의 우려에 대해 공신력 있는 외부 용역기관을 통해 도출된 객관적 데이터로 설명을 하려 했으나 설명회가 무산됐다”며 “추후 민관과 협의해 다시 설명회 자리를 마련한 뒤 소통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CWN 손태한 기자
son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