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장기화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변동성 확대 무게
![]() |
▲ 비상계엄 선포 사태에 대해 지난 7일 사과하는 윤석열 대통령. 사진=대통령실 |
연초 한국거래소를 찾은 윤석열 대통령이 밸류업 정책 등을 통해 국내 증시를 활성화하겠다고 호언장담했지만, 오히려 윤석열 대통령의 난데없는 '비상계엄' 사태로 인해 연말을 앞두고 국내 증시가 꼬꾸라지고 있다. 특히 지난 주말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안이 국민의힘 대다수 국회의원의 투표 불참에 의해 무산되고, 여야간 탄핵 대치 정국 장기화가 불가피해지면서 월요일 국내 증시는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연중 최저가 수준까지 추락했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지난 6일)보다 2.78%(67.58포인트(p))나 급락한 2360.58로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작년 11월2일 기록한 2343.12 이후 1년1개월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코스닥 역시 바닥을 뚫었다. 이날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5.19%(34.32p) 하락하면서 627.01로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연중 최저치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35.79p(1.47%) 내린 2392.37로 출발해 줄곧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이에 따라 코스피는 비상계엄 사태 이후 4거래일 연속 내림세를 보였다.
투자자별로 보면 기관과 외국인투자자가 각각 6907억원, 1006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투자자는 8860억원 순매도했다.
코스닥 역시 계엄 사태 이후 4거래일 연속 하락세다. 코스피와 마찬가지로 연저점을 뚫었는데, 이날 코스닥 지수는 지난 2020년4월 이후 가장 낮았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탄핵 장기화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로 개인투자자가 3013억원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2049억원, 기관은 1001억원 순매수했지만, 개인 투자자가 쏟아낸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면서 지수는 크게 떨어졌다.
![]() |
▲사진= 한국거래서 |
![]() |
▲사진=한국거래소 |
이날 국내 증시 상황에 대해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탄핵소추안 투표 불성립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연장됐다"며 "국내 증시와 외환시장의 단기적인 변동성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 역시 "국내 정치 상황이 정치적 해결, 수습 국면으로 들어간 것이지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은 아니"라며 "시장은 정치적 이슈와 이벤트, 뉴스 등에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원·달러 환율은 2년여 만에 최고를 찍었다. 탄핵 정국 장기화로 인한 국내 금융 시장 불확실성 확대가 원화 약세로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서울외국환중개에 따르면 9일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1419.2원)보다 17.8원 상승한 1437.0원(오후3시30분 기준)으로 장 마감했다.
지난 2022년10월24일 1439.7원(종가기준) 이후 2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전 거래일보다 소폭(6.8원)오른 1426.0원에 거래를 시작해 바로 1430원까지 뛴 원달러 환율은 이후 1430원 선에서 거래를 지속하며 상승세가 일단락하는 모습을 보이다 다시 급등했다. 이후 11시41분쯤 1438.3원까지 찍으면서 지난 2022년10월25일(1444.2원) 이후 약 2년1개월여 만에 장중 최고점을 터치했다.
시장에서는 환율 역시 탄핵 정국 장기화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당분간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주원 대신증권 연구원은 "환율 하락 반전을 기대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라며 "다시 탄핵 표결을 앞두고 있는 등 정치적 불안이 남아있어 시장 변동성은 확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 |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두 번째)이 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
대내외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정치적 상황의 경제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관계기관이 더욱 긴밀한 비상 공조·대응체계를 유지하면서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여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4일부터 정부와 금융당국은 주식·채권·단기자금·외화자금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면서, 최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및 회사채·CP(기업어음) 매입프로그램 등 시장안정조치를 지속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이날 당국은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되지 않도록, 준비된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들이 즉각 시행한다는 계획이다.
밸류업 펀드 중 300억원이 이미 투입되었고 이번 주 700억원, 다음주 300억원 등 순차적으로 집행될 예정이며, 다음주에는 3000억원 규모의 2차 펀드를 추가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증시안정펀드 등 기타 시장안정조치도 언제든 즉시 가동한다는 방침이다.
채권시장은 필요시 국고채 긴급 바이백(Buy Back), 한은의 국고채 단순 매입 등을 즉시 시행하고, 외환·외화자금시장은 필요시 외화 RP(환매조건부채권) 매입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을 충분히 공급하는 한편, 외환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구조적 외환수급 개선방안도 조속히 관계기관 협의를 마무리해 이달 중 발표한다.
또 정부는 국제 신용평가사, 국제금융기구, 해외투자자, 주요국 재무장관, 국제투자은행(IB) 등을 대상으로 부총리 명의 서한을 발송하는 한편, 국제금융협력 대사를 국제기구와 주요국에 파견하는 등 소통을 강화해 대외신인도에 영향이 없도록 힘쓴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부총리 주재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컨트롤 타워로 '경제금융상황 점검 TF'를 통해 금융·외환은 물론 소비·투자·수출·고용·물가 등 경기·민생 전반을 24시간 빈틈없이 모니터링하면서, 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한다는 계획이다.
CWN 배태호 기자
bth@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