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 “글로벌 AI 협력의 대표 사례”… 젠슨 황 “한국과 여정 함께할 것”
![]() |
| ▲ 31일 APEC 정상회의 장소인 경북 경주화백컨벤션센터(HICO)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왼쪽부터 이해진 네이버 의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이재명 대통령,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뉴시스 |
엔비디아가 한국에 26만 장의 최신 GPU(그래픽처리장치)를 공급한다. 공급 규모만 14조 원에 달한다. 정부와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자동차·네이버클라우드 등 4대 그룹이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엔비디아는 31일 “새로운 블랙웰 인프라 투입으로 한국의 GPU 수량이 기존 6만5000개에서 30만 개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한국이 세계적 수준의 AI 리더로 도약할 토대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전날 사전 브리핑을 열고 ‘한국 인프라 기술 발전 AI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핵심은 최신 GPU ‘블랙웰’을 기반으로 한국 내 AI 인프라를 확충하고, 이를 자동차·반도체·통신 등 핵심 산업의 디지털 전환에 활용하는 것이다.
정부는 최대 5만 개의 GPU를 배치해 기업의 AI 연구를 지원한다. 삼성·SK그룹·현대차그룹은 각각 최대 5만 개, 네이버클라우드는 6만 개의 GPU를 도입한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초대형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반도체 제조 공정의 속도와 수율을 개선하는 디지털 트윈 시스템을 적용하고, 오픈소스 기반 대형언어모델(LLM) ‘네모 트론(NeMo Tron)’과 쿠다(CUDA)-X, 옴니버스(Omniverse) 플랫폼을 활용할 계획이다.
SK그룹도 GPU를 활용한 AI 팩토리 설계를 진행 중이다. 반도체 생산 효율화를 넘어 클라우드 인프라 강화와 AI 에이전트 개발을 동시에 추진한다.
현대차는 엔비디아와 손잡고 자율주행·스마트팩토리·로보틱스 분야의 대형 모델을 학습하는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이번 협력으로 현대차는 정부와 함께 피지컬 AI 분야에 약 4조3000억 원(30억 달러)을 투자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젠슨 황 엔비디아 CEO 접견에서 “대한민국은 ‘AI 3대 강국’과 ‘AI 기본사회’를 목표로 기술 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다”며 “엔비디아와 한국 기업 간 긴밀한 협업이 글로벌 AI 협력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젠슨 황 CEO는 “한국의 AI 산업 발전 여정에 엔비디아가 함께할 것”이라며 “AI 인프라 구축, 인재 육성, 자율주행 로봇 등 피지컬 AI를 포함한 전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겠다”라고 화답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경주 AFEC] 한미정상회담, 관세협상 극적 타결](/news/data/2025/10/30/p1065580152831015_627_h.jpg)
![[김대선 칼럼] 종교의 자유와 생명평화 문화의 확산](/news/data/2025/10/20/p1065590165479262_556_h.png)
![[기고] 필드하키, 남북 평화를 여는 새로운 그라운드](/news/data/2025/09/08/p1065577652443752_295_h.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