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600~700명대를 기록하면서 4차 대유행 위기가 고조되는 추세이다. 이에, 방역 및 역학 조사에 인공지능(AI) 등 다양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실제로 밀접 접촉자 분류를 위해 경기도 부천시는 인공지능 안면인식 CCTV를 도입하며 역학 시스템 발전에 박차를 가했다. 그러나 안면인식 CCTV 도입과 관련, 사생활 침해 및 중국식 감시 사회의 첫걸음이라는 반대의 목소리 또한 만만치 않다.
실제로 안면인식 CCTV가 사생활을 침해하고 신상을 파악하는 일을 해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부천시는 “추적 대상자 정보를 익명화, 비식별화하고 원본 데이터와 최종 처리 결과 사이의 연결고리를 끊은 후 데이터를 재조합해 개인추적이 불가능하도록 개발한다”라고 밝혔다.
영상 정보의 익명 및 비식별화 과정은 AI를 통해 얼굴을 마스킹한 후, 인물 얼굴을 모자이크 혹은 흐리게 하거나 삭제해, 얼굴을 비식별화한다. 이후, 시리얼 처리를 통해 시리얼 번호를 부여하고는 개인 정보를 추적할 수 없는 데이터로 만드는 것이다.
AI를 통한 얼굴 마스킹은 관심 영역(ROI)인 얼굴을 검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같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반복 추적을 피한다. 그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 덕분에 영상에 접근하는 이에 따라 보안 데이터베이스가 다른 형식으로 영상이 제공돼, 확실한 익명 보장 및 식별화 과정으로 프라이버시 노출을 막는다.
부천시 스마트통합운영팀 관계자는 “안면인식 CCTV는 객체 인식을 통해 대상이 입고 있는 옷, 키 등으로 추적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추적 시에 확진자가 찍힌 CCTV 번호 및 좌푯값, 이동 경로는 나오지만, 사진이나 영상 정보는 저장되지 않은 채 역학 조사관에게 익명으로 제공되므로 해당 사업으로 감염병 예방 및 방역 목적 이외에 시민들의 정보 수집 및 사생활 침해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이 영상을 수집하고 안면인식을 한다는 것 자체에 불편함과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따라서 어떤 기술을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지 피촬영자가 보다 더 안심할 수 있는 추가적인 대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