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수준의 제약·의료기기·화장품 기업 8개사를 육성한다고 ZD넷이 보도했다.
보건복지부가 30일 제14차 혁신성장 BIG3 추진회의에서 공개한 ‘제약·의료기기 등 혁신형 바이오기업 육성방안’에 따르면, 혁신형 기업은 ‘도약형(start-up)’과 ‘선도형(scale-up)’으로 구분, 유형별 맞춤형 지원이 이뤄진다.
혁신형 기업은 제약·의료기기·화장품 분야별로 50개 업체 이내로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정기적으로 10% 기업을 탈락시켜, 새 기업을 재선정하는 이른바 ‘서바이벌’ 시스템이다. 복지부는 내년 성장잠재력과 기술가치 등 혁신성 평가체계 개선도 실시키로 했다.
창업 7년 미만의 혁신형 기업의 안착을 목적으로 바이오헬스 혁신창업 기술상용화센터 및 K-바이오 랩허브에 우선 입주토록 지원한다. 의료기기교육센터와 K-뷰티 체험홍보관에 혁신형 기업 제품을 우선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인큐베이팅 장소도 제공된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