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르게 변화하는 정보 사회에서 코딩은 필수 기술로 자리 잡았다. 코딩 실력만 있다면 세계적인 기업에서 근무할 수많은 기회가 열린다.
따라서 코딩 학습 후에는 배운 내용을 꾸준히 연습하면서 온전히 내 기술로 만드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코딩 연습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인도 IT 전문 매체 애널리틱스인디아매거진이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갈고닦는 데 도움이 될 코딩 연습 플랫폼을 아래와 같이 소개했다.
1. 머신해크(MachineHack)
머신해크는 머신러닝 대회를 개최하는 유명 온라인 플랫폼 중 하나로 교육 과제 및 채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머신해크는 교육을 통하여 산업 간 기술 격차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머신해크는 해커톤을 개최하기도 하며, 배열, 문자열, 튜플(Tuple), 넘파이(NumPy), 사이파이(SciPy) 등 코딩의 여러 요소를 연습해볼 수 있다.
2. 리트코드(LeetCode)
리트코드는 테크 기업에 대한 인터뷰 가이던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유명한 플랫폼이다.
리트코드에서는 시스템 디자인, SQL 언어, 동적 프로그래밍, 배열, 머신러닝 등의 주제에 대한 강의를 운영하기도 운영한다.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어도비 등 주요 빅테크 기업 인터뷰에 대비하기 위한 가이던스도 제공한다.
또한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과제를 통하여 입문자 단계부터 고급 단계까지 배열, 해시 테이블, 동적 프로그래밍, 분류, 통계 등을 학습할 수 있다.
리트코드의 프리미엄권을 신청하면 월 사용료 35달러에 과제나 기타 독점적 교육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3. 해커랭크(HackerRank)
해커랭크는 인도 뱅갈루루에 본사를 둔 플랫폼으로, 경쟁 코딩(competitive coding)에 집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해커랭크는 자바, C++, 파이썬, SQL이나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챌린지도 마련한다. 플랫폼에서는 배열, 2차원 배열, 동적 배열, 희소 배열, 배열 조작, C 함수, C 포인터, C 조건문 등에 대한 챌린지에도 도전할 수 있으며 배열, 딕셔너리, 해시 맵, 스트링 조작, 동적 프로그래밍, 스택과 큐, 그래프, 재귀, 백트래킹과 관련된 면접 질문에 대비할 수 있다.
4. 코드셰프(CodeChef)
코드셰프는 인도의 소프트웨어 기업 디렉티(Directi)의 개발자 교육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최근에는 우나카데미(Unacademy)에 인수되었으며 기초 프로그래밍, 배열, 문자열, 이진 구조, 데이터 구조, 동적 프로그래밍, 그래프, 세그먼트 트리에 대한 학습 과정을 제공한다.
코드셰프는 매달 챌린지를 개최하여 경쟁 프로그래밍을 장려한다.
5. 코더바이트(Coderbyte)
코더바이트는 다양한 레벨의 챌린지를 개최하는 것으로 유명한 플랫폼이다. 챌린지는 난이도의 스펙트럼이 넓으며 플랫폼의 온라인 편집기를 이용하여 참가할 수 있다.
플랫폼의 챌린지는 알고리즘,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열리며 자동적으로 채점한다. 또한 실무 면접에 대비할 수 있도록 테크 기업의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이밖에 인재 채용 서비스를 통해 기업이 인력 채용 시 적절한 구직자를 검토하도록 지원한다.
6. 프리코드캠프(FreeCodeCamp)
프리코드캠프는 젊은 개발자들에게 실력을 향상하고 이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하나의 수료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다섯 개의 프로젝트를 개발해야 하며 레벨을 올리기 위해서는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하고 있다.
프리코드캠프에서 가장 인기 있는 인증으로는 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데이터 구조, 데이터 시각화, 백엔드 개발, API 인증, 파이썬을 이용한 데이터 분석, 파이썬을 활용한 머신러닝 등이 있다.
7. 코드워스(Codewars)
코드워스에서는 카타(kata)라 불리는 작은 단위의 코딩 과제에 참여할 수 있다. 각각의 카타는 코드워스 커뮤니티에서 개발되었으며 참여자들의 코딩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코드워스에서는 55개가 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할 수 있다. 카타는 브라우저에서 풀 수 있으며 참가자들의 진척을 확인하기 위하여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카타를 마친 후에는 다른 동료들의 답과 비교할 수 있어 문제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