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CHANGE WITH NEWS) - AI 래퍼 표절·특정 집단 조롱, 법적 책임 물을 수 있을까?

  • 맑음서산15.6℃
  • 맑음고산22.4℃
  • 맑음진도군16.0℃
  • 맑음밀양18.8℃
  • 흐림서청주14.8℃
  • 맑음강릉19.7℃
  • 맑음장수13.0℃
  • 맑음완도18.9℃
  • 맑음광주16.9℃
  • 맑음양산시19.9℃
  • 맑음강진군15.3℃
  • 흐림북춘천17.3℃
  • 맑음태백12.8℃
  • 맑음울산19.8℃
  • 맑음동해19.7℃
  • 맑음북부산20.6℃
  • 맑음부여14.9℃
  • 흐림영월16.0℃
  • 맑음춘천17.2℃
  • 맑음영주12.6℃
  • 맑음군산16.6℃
  • 맑음고창군16.7℃
  • 흐림홍천16.4℃
  • 흐림양평15.8℃
  • 맑음통영18.7℃
  • 맑음합천15.6℃
  • 흐림보은13.5℃
  • 맑음대전16.6℃
  • 맑음산청14.2℃
  • 흐림충주16.8℃
  • 박무수원16.6℃
  • 흐림천안14.7℃
  • 맑음영덕18.9℃
  • 박무홍성16.3℃
  • 박무서울17.5℃
  • 맑음여수19.1℃
  • 맑음정읍17.0℃
  • 맑음해남15.6℃
  • 박무청주16.7℃
  • 맑음장흥16.0℃
  • 맑음남원14.1℃
  • 맑음흑산도22.3℃
  • 맑음거제20.4℃
  • 맑음목포18.9℃
  • 맑음상주15.6℃
  • 맑음속초21.9℃
  • 맑음진주16.3℃
  • 맑음보성군17.8℃
  • 맑음부산22.5℃
  • 맑음경주시18.8℃
  • 맑음고창15.3℃
  • 맑음북강릉19.2℃
  • 흐림금산15.1℃
  • 맑음대구18.9℃
  • 맑음동두천15.8℃
  • 박무인천18.9℃
  • 맑음전주18.3℃
  • 맑음추풍령15.1℃
  • 흐림순창군14.3℃
  • 맑음김해시19.1℃
  • 맑음고흥17.0℃
  • 맑음철원15.5℃
  • 맑음제주20.8℃
  • 맑음구미17.0℃
  • 맑음남해19.8℃
  • 맑음부안17.4℃
  • 맑음대관령10.2℃
  • 흐림세종15.2℃
  • 맑음영천17.8℃
  • 박무백령도20.6℃
  • 맑음원주15.0℃
  • 맑음서귀포21.9℃
  • 흐림정선군15.5℃
  • 맑음영광군15.4℃
  • 맑음의령군15.8℃
  • 흐림제천14.5℃
  • 맑음강화16.4℃
  • 흐림의성15.6℃
  • 흐림이천15.8℃
  • 안개안동14.7℃
  • 맑음보령18.4℃
  • 흐림청송군15.9℃
  • 맑음순천14.8℃
  • 맑음파주15.4℃
  • 구름많음임실14.2℃
  • 맑음울진17.7℃
  • 맑음거창13.5℃
  • 맑음울릉도19.9℃
  • 맑음포항19.7℃
  • 맑음함양군13.8℃
  • 맑음성산21.3℃
  • 맑음광양시18.1℃
  • 흐림인제16.7℃
  • 맑음문경15.7℃
  • 맑음봉화11.9℃
  • 맑음창원20.3℃
  • 맑음북창원20.4℃
  • 2025.10.01 (수)

AI 래퍼 표절·특정 집단 조롱, 법적 책임 물을 수 있을까?

고다솔 / 기사승인 : 2022-09-14 16:19:29
  • -
  • +
  • 인쇄
출처: Capitol Music Group
출처: Capitol Music Group

지난 달, 미국 음반 발매 기업 캐피톨 레코드(Capitol Records)가 인공지능(AI) 기반 가상 래퍼 FN 메카(FN Meka)와 계약 후 음원을 발매했다. FN 메카는 릴 펌프(Lil Pump)와 6ix9ine, 트래비스 스콧(Travis Scott) 등 여러 스타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그러나 싱가포르 영문 매체 더 스트레이트 타임스는 FN 메카가 등장한 뒤 일부 대중음악 전문가 사이에서 AI의 문화적 도용 관련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보도했다.

매체가 언급한 바와 같이 FN 메카에 앞서 1996년 사망한 래퍼 투팍(Tupak Shakur)의 홀로그램이 2012년 뮤직 페스티벌 현장에서 공연한 사례와 2020년, 트래비스 스콧이 포트나이트(Fortnite)에서 아바타로 콘서트를 개최한 사례, 스눕독(Snoop Dogg)과 에미넴(Eminem)이 MTV 비디오 뮤직 어워드에서 메타버스 공연을 개최한 사례 등 신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대중문화 경험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실제 인물의 모습으로 등장한 가상 캐릭터가 대중 문화에서 표절 문제까지 일으킨다면,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을까? 또, AI로 완성한 곡이 표절 시비에 휘말리게 된다면, 해당 곡 작업을 한 AI를 사용하고 관리한 인간이 전적으로 책임을 지는 것이 맞을까?

그리고 FN 메카의 비판 세력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AI 래퍼 개발자 개인의 선입견을 그대로 반영하여 특정 집단 혐오나 차별성 곡을 발매한다면, 이때는 어떤 책임이 따르게 될까?

인간과 기술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MIT 미디어 랩(MIT Media Lab) 소속 대학원생 지브 엡스타인(Ziv Epstein)은 “인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윤리적 규범과 법률 규정이 인간과는 별도로 진화할 수도 있다. 앞으로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에는 새로운 법적 기준을 마련하고, 윤리적, 법적 문제를 최소화할 인간의 올바른 기술 사용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젊은 세대의 기술 사용법 교육 기관인 웨이예(Waye) 창립자인 시니드 보벨(Sinead Bovell)은 “AI 래퍼는 인간이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개발하여 탄생한다. AI 래퍼가 특정 소수 집단을 대변한다고 주장하면서도 해당 집단의 특성을 제대로 담지 않고 조롱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라는 우려를 전했다.

실제로 FN 메카는 유색인종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발표했으나 흑인 문화 모욕과 부당한 수익 창출, 부적절한 흑인 문화 반영으로 논란이 되었다.

FN 메카와 같은 AI 아티스트의 문화적 도용 및 특정 집단 조롱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 모두가 동의하는 바가 있다면, 그동안 인간이 아닌 대상이 제작한 예술 작품과 관련된 언어와 개념 논의가 없었다는 사실이 문제의 본질이라는 점이다.

엡스타인은 어도비 리서치(Adobe Research) 소속 과학자 애론 허츠만(Aaron Hertzmann) 박사의 『컴퓨터도 예술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가?(Can Computers Make Art?)』라는 논문에 주목했다.

허츠만 박사는 인간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간만이 예술을 제작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렇다면, 머신러닝은 단순한 예술작품 생성 수단일 뿐이다. 예를 들어, 오픈AI의 AI 기반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 DALL-E 2와 같은 예술 작품이 선보인 그림은 DALL-E 2의 작품이 아닌 명령어를 입력한 인간의 작품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만, 허츠만 박사는 “언젠가는 지금보다 더 발전한 AI를 진정한 사회적 요소로 인정하게 되는 날이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엡스타인은 AI를 사회적 요소로 인정하게 된다면, AI와 AI를 사용한 인간 중 예술작품 소유권과 법적 책임 적용 대상을 둘러싼 논의가 더 복잡해질 것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최신기사

뉴스댓글 >

- 띄어 쓰기를 포함하여 250자 이내로 써주세요.
-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욕설/비방/허위/명예훼손/도배 등의 댓글은 표시가 제한됩니다.

댓글 0

Today

Hot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