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커머스도 우려 속 정중동 행보…"편의점계 가장 바빠"
![]() |
▲ 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앞에서 열린 '내란죄 윤석열 퇴진! 국민주권 실현! 사회대개혁! 국민촛불대행진'이 마무리 된 뒤 일부 시민이 남아 국회를 향해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촉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최근 비상계엄 선포 후 해제 여파로 대통령 탄핵 추진이 공론화되면서 정국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유통업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소비 심리가 위축돼 연말 수혜가 사라질 수도 있어서다. 특히 백화점과 대형마트는 향후 추이를 지켜보며 혹시 모를 변수 대처에 전전긍긍하는 모양새다.
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롯데·신세계·현대·갤러리아 백화점은 일단 정상 영업을 유지하되, 급변하는 정치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지난 2016년 12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됐을 당시 소비자심리지수가 두 달 전에 비해 10% 가까이 떨어진 바 있다.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들도 정중동 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일단 매출에 큰 영향은 없다"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 외에는 딱히 답이 없는 게 현실"이라고 토로했다.
유통업계가 가장 우려하는 점은 불안한 정국이 지속되는 것이다. 통상 연말을 포함한 4분기는 매출 규모가 확대되는 시기다. 성탄절이나 연말연시 선물용 상품 판매, 내년 설 선물 예약 등이 집중되기 때문이다.
자칫 탄핵 정국이 장기화돼 소비가 위축될 시 주요 유통업체들이 회복하기 힘든 '내상'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커머스 업계도 이같은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는 것을 경계하고 나선 상태다. 쿠팡 등 대다수는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이후 구조조정 등에 돌입한 마당에 예상밖 악재가 더해져 당분간은 비상경영 체제를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시청광장에 인접한 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 소공로 본점의 경우에는 추가로 안전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인근에 위치한 서울 시청광장에서 탄핵 관련 대규모 시위가 열릴 것에 대비하는 차원이다.
이밖에 편의점 업계도 탄핵 정국에 따른 추후 상황을 면밀히 살피면서 현장 대응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집회나 시위 현장 인근 점포를 중심으로 생필품, 방한용품 등의 수급에 이상이 없도록 만전을 기한다는 입장이다.
CWN 손현석 기자
spinoff@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