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WN 김해남 기자] 랭키파이가 발표한 2024년 3월 4주차 국내 대학교 트렌드 지수에 따르면 성균관대학교의 트렌드 지수는 6,804포인트로 전주보다 730포인트 상승해 1위를 차지했다.
랭키파이 국내 대학교 트렌드 지수는 2024톁 3월 3주차 키워드 검색량과 구글트렌드 점수를 지수화한 분석 결과이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5,503포인트로 전주보다 392포인트 하락해 2위를 차지했다. 이어 가천대학교, 연세대학교, 경희대학교, 서울대학교, 부경대학교, 고려대학교, 건국대학교, 계명대학교가 뒤를 이으며 3~10위를 기록했다.
또 11위 백석대학교, 12위 원광대학교, 13위 경북대학교, 14위 중앙대학교, 15위 단국대학교, 16위 한양대학교, 17위 동국대학교, 18위 영남대학교, 19위 전남대학교, 20위 부산대학교 순으로 나타났다.
| 순위 | 키워드 | 3월 3주차 | 3월 2주차 | 증감 | 비율 |
|---|---|---|---|---|---|
| 1 | 성균관대학교 | 6,804 | 6,074 | 730 | 12.0% |
|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5,503 | 5,895 | -392 | -6.6% |
| 3 | 가천대학교 | 5,065 | 5,731 | -666 | -11.6% |
| 4 | 연세대학교 | 4,530 | 4,825 | -295 | -6.1% |
| 5 | 경희대학교 | 4,497 | 4,824 | -327 | -6.8% |
| 6 | 서울대학교 | 4,253 | 4,825 | -572 | -11.9% |
| 7 | 부경대학교 | 3,931 | 2,638 | 1,293 | 49.0% |
| 8 | 고려대학교 | 3,914 | 4,163 | -249 | -6.0% |
| 9 | 건국대학교 | 3,898 | 4,231 | -333 | -7.9% |
| 10 | 계명대학교 | 3,850 | 4,096 | -246 | -6.0% |
[출처: 랭키파이 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분석 결과]
성별 관심도 분석 결과 1위 성균관대학교는 남성 38%, 여성 62%, 2위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남성 24%, 여성 76%, 3위 가천대학교는 남성 36%, 여성 64%가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순위 | 키워드 | 트렌드지수 | 남성 | 여성 |
|---|---|---|---|---|
| 1 | 성균관대학교 | 6,804 | 38% | 62% |
|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5,503 | 24% | 76% |
| 3 | 가천대학교 | 5,065 | 36% | 64% |
| 4 | 연세대학교 | 4,530 | 36% | 64% |
| 5 | 경희대학교 | 4,497 | 34% | 66% |
| 6 | 서울대학교 | 4,253 | 39% | 61% |
| 7 | 부경대학교 | 3,931 | 39% | 61% |
| 8 | 고려대학교 | 3,914 | 38% | 62% |
| 9 | 건국대학교 | 3,898 | 36% | 64% |
| 10 | 계명대학교 | 3,850 | 36% | 64% |
[출처: 랭키파이 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분석 결과]
연령별 관심도에서는 성균관대학교가 10대 26%, 20대 27%, 30대 7%, 40대 20%, 50대 20%로 나타났다.
| 순위 | 키워드 | 트렌드지수 | 10대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
| 1 | 성균관대학교 | 6,804 | 26% | 27% | 7% | 20% | 20% |
| 2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5,503 | 2% | 13% | 18% | 31% | 35% |
| 3 | 가천대학교 | 5,065 | 28% | 32% | 4% | 18% | 18% |
| 4 | 연세대학교 | 4,530 | 27% | 21% | 6% | 23% | 23% |
| 5 | 경희대학교 | 4,497 | 31% | 24% | 5% | 20% | 20% |
| 6 | 서울대학교 | 4,253 | 26% | 16% | 9% | 26% | 23% |
| 7 | 부경대학교 | 3,931 | 31% | 24% | 6% | 20% | 19% |
| 8 | 고려대학교 | 3,914 | 28% | 18% | 7% | 24% | 23% |
| 9 | 건국대학교 | 3,898 | 27% | 29% | 4% | 20% | 20% |
| 10 | 계명대학교 | 3,850 | 35% | 30% | 5% | 16% | 15% |
[출처: 랭키파이 국내 대학교 트렌드지수 분석 결과]
트렌드 지수 1위 성균관대학교의 빅데이터 조사한 결과, 성균관대학교 수원, 성균관대학교 입학처, 성균관대학교 수시등급, 성균관대학교 기숙사, 성균관대학교 학과 등이 주목받는 관련 검색어로 나타났으며 2위 한국방송통신대학교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유아교육과,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주차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3위 가천대학교는 가천대학교 수시등급, 가천대학교 총장, 가천대학교 입학처, 가천대학교 포털, 가천대학교 정시등급 등으로 나타났다.
CWN 김해남 기자
newstdi9@cwn.kr
[저작권자ⓒ CWN(CHANGE WITH NEWS).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김대선 칼럼] 종교의 자유와 생명평화 문화의 확산](/news/data/2025/10/20/p1065590165479262_556_h.png)
![[구혜영 칼럼] 시스템 말고 사람을 교체하라](/news/data/2025/10/16/p1065594348054313_792_h.png)
![[기고] 필드하키, 남북 평화를 여는 새로운 그라운드](/news/data/2025/09/08/p1065577652443752_295_h.png)
![[윤창원 칼럼] 뜨는 도시, 지는 국가 – 지방정부 국제교류의 자율과 책임](/news/data/2025/08/27/p1065597151274916_658_h.png)
![[기고] 박찬대 ‘유감’](/news/data/2025/07/29/p1065571800897621_913_h.png)



